실수형(2)
-
[프로그래밍 기본 개념] 자료형_숫자형2 (누구나 파이썬 배우기_8)
저번 포스팅에서 숫자형에는 정수형과 실수형이 있다고 배웠습니다. 이번에는 숫자형끼리 연산을 할 때 어떤 경우에 결과값이 정수형 또는 실수형이 나오는지 알아보겠습니다. // 숫자형 연산 # 정수형 연산 print(3 + 5) # 출력값 : 8 # 실수형 연산 print(3.0 + 5) print(3 + 5.0) print(3.0 + 5.0) # 출력값 : 8.0 정수형 끼리 연산을 했을 경우에는 정수형 값만 출력이 됩니다. 하지만 연산식에 하나라도 실수형으로 표기가 되어있으면 파이썬에는 결과값을 실수형으로 표현합니다. 우리에게는 똑같은 8이라는 결과값이지만 컴퓨터는 8과 8.0은 엄연히 다른 숫자형 형태로 인식하기 때문에 정수형인지 실수형인지 구분을 확실히 하면서 코딩을 해야 합니다. # 나눗셈 연산 pr..
2023.12.01 -
[프로그래밍 기본 개념] 자료형_숫자형1 (누구나 파이썬 배우기_7)
2023.09.10 - [Python 배우기(누구나 쉽게)] - [프로그래밍 기본 개념] 주석(코멘트) | 자료형 (누구나 파이썬 배우기_5) [프로그래밍 기본 개념] 주석(코멘트) | 자료형 (누구나 파이썬 배우기_5) // 주석 (코멘트) 프로그래밍에 있어서 알아야 될 기본 개념을 배우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코딩할 때 가장 중요한 주석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주석은 사전적 정의로는 본문에 있는 뜻을 알기 쉽 corinet.tistory.com 위 포스팅에서 자료형에 대한 개념을 간략하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자료형(데이터의 형태) 이번 포스팅에서는 본격적으로 자료형에 대해서 배워볼 것입니다. 그중에서도 숫자형태로 이루어진 자료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프로그래밍에서는 숫자, 문자 등 자료 형태로 사..
2023.1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