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기본 개념] 자료형_숫자형2 (누구나 파이썬 배우기_8)
2023. 12. 1. 13:02ㆍPython 배우기(누구나 쉽게)
저번 포스팅에서 숫자형에는 정수형과 실수형이 있다고 배웠습니다.
이번에는 숫자형끼리 연산을 할 때 어떤 경우에 결과값이 정수형 또는 실수형이 나오는지 알아보겠습니다.
// 숫자형 연산
# 정수형 연산
print(3 + 5)
# 출력값 : 8
# 실수형 연산
print(3.0 + 5)
print(3 + 5.0)
print(3.0 + 5.0)
# 출력값 : 8.0
정수형 끼리 연산을 했을 경우에는 정수형 값만 출력이 됩니다.
하지만 연산식에 하나라도 실수형으로 표기가 되어있으면 파이썬에는 결과값을 실수형으로 표현합니다.
우리에게는 똑같은 8이라는 결과값이지만 컴퓨터는 8과 8.0은 엄연히 다른 숫자형 형태로 인식하기 때문에
정수형인지 실수형인지 구분을 확실히 하면서 코딩을 해야 합니다.
# 나눗셈 연산
print(6 / 3)
# 출력값 : 2.0
print(6 / 3.0)
# 출력값 : 2.0
# 버림 나눗셈(floor division) 연산
print(7 // 3)
# 출력값 : 2
print(7 // 3.0)
# 출력값 : 2.0
print(7.0 // 3)
# 출력값 : 2.0
print(7.0 // 3.0)
# 출력값 : 2.0
덧셈, 뺄셈, 곱셈은 모두 정수형 끼리 연산하면 정수형으로 표현되고
하나라도 실수형이 있으면 실수형으로 표현되지만
나눗셈에서는 값이 나머지 없이 딱 나누어 떨어져도
무조건 실수형으로 나옵니다.
저번 포스팅에서 나눗셈의 몫만 출력하고 싶을 때는 연산자 // 를 쓴다고 배웠습니다.
연산자 // 는 영어로 'floor division'으로 실수 이하의 최대 정수를 구하는 함수입니다.
즉, 7 나누기 3을 했을 때 값은 2.333.... 이 나오지만
버림 나눗셈 연산자 // 을 이용해 나눗셈 값은 2.333... 이하보다 최대 정수를 구하라는 뜻이 되므로
값은 2가 나오게 됩니다.
버림 나눗셈은 나눗셈과 달리 실수형이 하나라도 있으면 실수형으로 표현되지만
연산식이 정수형으로만 이루어져 있으면 정수형으로 표현됩니다.
// 숫자형 변환(형변환)
연산값이 정수형 또는 실수형으로 표현되는데
만약 정수형으로 표현된 값을 실수형으로 표현해야 되거나
실수형으로 표현된 값을 정수형으로 표현해야 되는 경우에는
형변환을 해주면 됩니다.
# 형변환
# 정수형태를 실수형태로!!
print(float(3 + 5))
# 출력값 : 8.0
# 실수형태를 정수형태로!!
print(int(3.0 + 5))
# 출력값 : 8
위와 같이 int는 정수형을 의미하는 것이고
float는 실수형을 의미하는 것으로
앞에 int 또는 float 함수를 사용해서 숫자의 형태를 바꿀 수 있습니다.
프로그래밍에서는 상황마다 정수형태 또는 실수형태가 필요할 때가 있습니다.
크기가 똑같은 숫자라도 컴퓨터는 정수형과 실수형을 명확하게 구분 짓기 때문에 숫자형에 있어
형태가 정수가 필요한지 실수가 필요한지 꼭 생각을 하면서 코딩을 해야됩니다.
'Python 배우기(누구나 쉽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래밍 기본 개념] 자료형_숫자형1 (누구나 파이썬 배우기_7) (36) | 2023.10.02 |
---|---|
[프로그래밍 기본 개념] 변수 | 함수 (누구나 파이썬 배우기_6) (37) | 2023.10.01 |
[프로그래밍 기본 개념] 주석(코멘트) | 자료형 (누구나 파이썬 배우기_5) (34) | 2023.09.10 |
첫 코딩 print 함수 사용해보기 (누구나 파이썬 배우기_4) (13) | 2023.09.04 |
파이썬 코딩을 위한 도구 및 파이썬 설치 (누구나 파이썬 배우기_3) (11) | 2023.0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