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10. 1. 17:31ㆍPython 배우기(누구나 쉽게)
// 추상화
우리는 휴대폰을 사용할 때 전화가 어떠한 방식으로 이루어지는지 이해하기 위해서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통신 등 다양한 원리들을 알아야 합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들은 어떠한 방식으로 통화가 이루어지는지 잘 모르고 사용을 합니다.
이처럼 완벽한 방식 또는 원리는 알고 사용하기에는 많은 지식을 필요로 합니다.
하지만 복잡한 지식은 몰라도 주요 기능에만 치중(예를 들어 휴대폰에서는 전화)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을 컴퓨터 과학에서는 추상화라고 부릅니다.
// 변수
저번 시간에는 주석이라는 개념과 자료형의 개념에 대해서 간략하게 배웠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변수, 함수, 객체라는 것을 배워볼 텐데 프로그래밍에서 어떤 언어든지 간에 꼭 필요한 개념이므로 잘 익혀두길 바랍니다.
변수는 변하는 수라는 뜻으로 어떠한 값을 저장하는 용도로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x라는 변수에 3.141592라는 값을 저장하는데 만약 변수라는 것이 없었으면 우리는 프로그래밍할 때 직접 매번 필요로 하는 값들을 적었어야 했을 것입니다.
그렇지만 우리는 변수라는 것을 사용해서 복잡한 값을 굳이 매번 안 써도 변수의 이름으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변수
ice_coffe = 4900 #아이스커피의 가격은 4900
ice_tea = 3500 #아이스티의 가격은 3500
two_glass = ice_coffe + ice_tea #두 잔의 가격 = 아이스커피 + 아이스티
print(two_glass) # 두 잔의 가격 출력!
// 함수
명령들을 저장하는 것을 함수라고 합니다.
수학에서 함수를 보면 f(x) = x + 5라는 식에 x의 값만 넣으면 수식의 값을 구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프로그래밍에서 함수 또한 명령들을 함수에 담고 우리는 함수만 호출하면 명령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
print("CorinE")
위의 print 함수는 출력함수로 값을 화면에 출력하라는 명령이 들어있는 것입니다.
실제로는 CorinE라는 글자를 화면에 출력하기까지 내부적으로 복잡한 과정이 있을 것입니다.
그렇지만 우리는 이러한 복잡한 과정을 단순한 개념으로 사용할 수 있게 만든 것을 추상화의 개념이라고 했으며 함수도 추상화의 개념에 포함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print처럼 자주 쓰이는 함수들은 파이썬에서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함수로 내장함수라고 부릅니다.
# 함수
def CorinE(): #함수 정의
print('Hi CorinE') #함수 내용
CorinE() #함수 사용
위의 함수 예제를 보면 함수를 정의할 때는 '정의'라는 뜻을 가진 define의 약자인 def를 적어줍니다.
그리고 한 칸 띄고 함수이름을 정해준 다음 괄호를 열고 닫은 후에 콜론(:)을 붙여줍니다.
한 줄 내려와서 이제 함수내용을 적어주면 되는데 파이참 같은 코드 에디터를 사용할 경우에는 알아서 들여 쓰기가 되지만 메모장 같은 곳에 적을 경우에는 탭(Tab) 키로 들여 쓰기 해준 후에 적으면 됩니다.
우리가 적은 함수의 내용은 print('Hi CorinE')로 CorinE라는 함수를 호출했을 때 출력화면에는 Hi CorinE가 출력됩니다.
함수를 호출하는 방법은 함수이름을 적어주고 뒤에 괄호를 열고 닫으면 됩니다.
함수를 호출할 때에는 위의 예시처럼 들여 쓰기를 하지 말고 적어줘야 오류가 안 납니다.
만약 들여 쓰기를 하고 함수호출을 한다면 함수호출하는 코드가 함수내용에 들어가므로 오류가 나게 됩니다.
파이썬을 코딩할 때에는 항상 들여 쓰기에 유의해서 코딩을 해줍니다.
# 함수 파라미터
def Corin(name):
print(name * 365)
Corin(2) #함수사용할 때 원하는 값을 넣어서 출력!
이번에는 함수에 원하는 값을 넣어 출력하는 함수 예제입니다.
Corin이라는 함수를 지정할 때 괄호 안에 name이라는 변수를 넣어주었습니다.
def Corin(name):라고 정의할 때 이때 name은 개발자가 지정한 변수이름이며 함수정의 시 괄호 안에 들어가는 값을 파라미터라고 부릅니다.
그리고 함수내용에도 print함수에 name이라는 변수를 넣어주었고 함수호출할 때 Corin(2)라는 함수를 호출함으로써 name이라는 변수에는 2가 들어간 함수가 호출되게 됩니다.
파라미터는 함수의 구조는 그대로 이용하지만 값의 변경이 필요할 때 사용합니다.
다시 말해 수학에서 f(x)라는 함수에서 x의 값에 5를 넣어서 계산하고 싶을 때는 f(5)라고 표현하는 것처럼 f(x)에서 x를 파라미터라고 말하는 것과 똑같습니다.
따라서 Corin(2)를 호출하게 되면 2 * 365가 계산된 결괏값이 출력됩니다.
이렇게 변수와 함수에 대해서 배워보았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이제 구체적으로 자료형에 대해서 하나씩 배우도록 하겠습니다.
'Python 배우기(누구나 쉽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래밍 기본 개념] 자료형_숫자형2 (누구나 파이썬 배우기_8) (16) | 2023.12.01 |
---|---|
[프로그래밍 기본 개념] 자료형_숫자형1 (누구나 파이썬 배우기_7) (36) | 2023.10.02 |
[프로그래밍 기본 개념] 주석(코멘트) | 자료형 (누구나 파이썬 배우기_5) (34) | 2023.09.10 |
첫 코딩 print 함수 사용해보기 (누구나 파이썬 배우기_4) (13) | 2023.09.04 |
파이썬 코딩을 위한 도구 및 파이썬 설치 (누구나 파이썬 배우기_3) (11) | 2023.0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