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기본 개념] 자료형_숫자형1 (누구나 파이썬 배우기_7)

2023. 10. 2. 15:37Python 배우기(누구나 쉽게)

2023.09.10 - [Python 배우기(누구나 쉽게)] - [프로그래밍 기본 개념] 주석(코멘트) | 자료형 (누구나 파이썬 배우기_5)

 

[프로그래밍 기본 개념] 주석(코멘트) | 자료형 (누구나 파이썬 배우기_5)

// 주석 (코멘트) 프로그래밍에 있어서 알아야 될 기본 개념을 배우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코딩할 때 가장 중요한 주석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주석은 사전적 정의로는 본문에 있는 뜻을 알기 쉽

corinet.tistory.com

위 포스팅에서 자료형에 대한 개념을 간략하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자료형(데이터의 형태)


 

이번 포스팅에서는 본격적으로 자료형에 대해서 배워볼 것입니다.

그중에서도 숫자형태로 이루어진 자료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프로그래밍에서는 숫자, 문자 등 자료 형태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것을 자료형이라고 합니다.

 

계산기라는 프로그램에서는 숫자형태의 데이터만 필요하다면, 메신저에서는 숫자뿐만이 아닌 문자도 사용할 것이며 문자를 주고받은 내용이 서버에 여러 자료 형태로 보관될 것입니다.

 

이처럼 프로그램에서 데이터가 어떤 형태로 쓰일 수 있는지에 대해서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 숫자형 자료형(정수형 / 실수형)


 

숫자형은 말 그대로 숫자로 이루어진 자료형을 말합니다. 

 

흔히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정수, 실수 등처럼 파이썬에서는 정수형과 실수형의 두 가지의 형태의 숫자형이 있습니다.

 

#숫자형 자료형_정수형

a = 3 # 정수형(양의 정수)
b = -3 # 정수형(음의 정수)
c = 0 # 정수형 (0)

 

▣ 정수형(integer)

정수형이란 말 그대로 정수를 뜻하는 자료형을 말합니다.

위의 코드를 보면
- a라는 변수에 3이라는 양의 정수를
- b라는 변수에 -3이라는 음의 정수를
- c라는 변수에 숫자 0을 대입하였습니다.

이처럼 양의 정수, 음의 정수, 0이라는 데이터를  a, b, c의 각각의 변수에 넣어줌으로써
정수형태의 숫자자료형이 되는 것입니다.

 

#숫자형 자료형_실수형

d = 3.15 # 실수형
e = -3.15 # 실수형
f = 3.15E10 # 컴퓨터 지수표현방식 / 3.15 * 10의 10승
g = 3.15e-10 # 컴퓨터 지수표현방식 / 3.15 * 10의 -10승

 

실수형(floating-point)

실수형이란 소수점이 포함된 숫자의 자료형을 말합니다.

위의 코드를 보면
- d라는 변수에 3.15라는 실수를
- e라는 변수에 -3.15라는 실수를
- f라는 변수에 3.15E10이라는 지수형태를
- g라는 변수에 3.15e-10이라는 지수형태를 대입하였습니다.

여기서 3.15E10과 3.15e-10에서 대문자 E와 소문자 e는 상관이 없습니다.

E와 e 모두 컴퓨터에서의 지수표현방식으로
'유효숫자 * e+지수숫자'의 형태로 적습니다.
e는 지수의 밑이 10인 것을 의미합니다.

이처럼 소수점이 표기된 형태로 된 숫자데이터를  d, e, f, g의 각각의 변수에 넣어줌으로써
실수형태의 숫자자료형이 되는 것입니다.

 

 

 

// 숫자형을 활용한 연산자


 

숫자형 데이터를 이용하여 연산자를 이용하는 방법을 보겠습니다.

 

프로그래밍을 한 번도 안 해 본 코린이 여러분들도 사칙 연산은 알고 있을 것입니다.

 

파이썬에서도 계산기처럼 사칙 연산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 덧셈
print(3 + 5)
# 출력값 : 8

# 뺄셈
print(5 - 3)
# 출력값 : 2

# 곱셈
print(3 * 5)
# 출력값 : 15

# 나눗셈
print(5 / 3)
# 출력값 : 1.6666666667

# 나눗셈에서 몫만 출력
print(5 // 3)
# 출력값 : 1

# 나눗셈에서 나머지만 출력
print(5 % 3)
# 출력값 : 2

# 거듭제곱
print(3 ** 3)
# 출력값 : 27

 

먼저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의 사칙 연산을 보면 덧셈, 뺄셈, 곱셈 모두 정수형태로 출력이 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나눗셈에서는 (5 / 3) 계산값이 1.6666666667로 표현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더하기), -(빼기), *(곱하기), /(나누기)라는 사칙 연산자는 모두 알고 있을 것입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흔히 수학에서는 //와 %라는 연산자는 없었습니다.

그러나 파이썬에서는 추가로 나눗셈에서 몫만 출력하는 //연산자와 나머지만 출력하는 % 연산자가 있습니다.

더불어 3의 3승처럼 거듭제곱을 표현하는 연산자인 **라는 거듭제곱 연산자도 있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숫자형 자료형에 있어서 특히 연산자에 있어서 조금 더 자세히 배우도록 하겠습니다.